주5일 근무시 209시간이 되는 이유 (209시간 계산법)

주5일 근무시 209시간이 되는 이유를 알려드립니다. 1. 일주일 근무시간 계산 근로기준법 제50조(근로시간) ① 1주 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②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일반적 출퇴근 시간인 9시 출근, 6시 퇴근을 기준으로 하겠습니다. 하루 8시간 근무 (점심시간 1시간 제외) 주 5일 근무 (월~금요일, 어린이날처럼 공휴일이 있어도 무관) (평일에 어린이날처럼 공휴일이 껴있다면 이는 유급휴일로 처리하며, 근무는 안했지만 근무한것으로 계산합니다) 하루 8시간 x 5일 = 40시간 근로기준법 제50조처럼 주 5일 근무시간 40시간이 나옵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휴일) ①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 주 5일을 근무했다면, 근로기준법 제55조에 의해 하루를 유급휴일로 보장해야 하며 보통 토요일을 유급휴일로 지정합니다. 그래서 토요일은 근무를 안했어도 돈을 주었기에(유급) 근무한것으로 계산에 포함시킵니다. 그러면 일주일 근무일이 총 6일로 되서 일주일 근무시간은 하루 8시간 x 6일 = 48시간이 됩니다. 일주일 근무시간 48시간! 2. 한달은 몇 주 인지 계산 1월~12월은 매달매달 일 수가 다릅니다. 어느달은 30일, 어느달은 31일, 가끔 2월은 28일.. 이렇게 매달 일수가 다릅니다. 우리는 연봉제일 경우 매달 일정한 급여를 받기에, 한달이 며칠인지 평균을 내야 계산이 편리합니다. 그런데 위에서 우리는 일주일 근무시간을 계산해놨기에 한달이 평균 몇 주인지로 계산이 되어야 합니다. 그럼 1달은 평균 몇 주인지 계산해 봅니다. 1년은 365일 입니다. 365일 ÷ 7일 = 52.142857 주 365일을 7일로 나누면 1년은 52.142857주가 됩니다. (소수점을 반올림하면 209시간이 안나오기에 소수점까지 계산합니다) 52.142857주 ÷ 12개월 = 4.345238주 그럼 1달은 평균 4.345238...